춘천소방서 퇴계119안전센터 제안공모에서 (주)건축사사무소공작소가 입상했습니다.
춘천 퇴계119안전센터는 퇴계2 논공단지내에 대부분이 공장인 환경에 자리하게 된다. 우리는 이러한 논공단지내에서 부족한 공공적인 공간을 가지는 119안전센터를 만들고자 다음을 제안 하였다.
첫번째는 합리적인 동선이다. 신속하고 안전한 출동이 우선 시 되어야 하는 안전센터를 위해 모든 공간을 1층으로 계획하고 수평동선으로 계획하였다. 두번째는 서로 배려하며 공간을 나누다. 중심 박공 매스를 기준으로 서쪽에는 차량의 동적공간, 동쪽에는 보행의 정적공간으로 나누어 조닝하였다. 마지막은 주변과 조화를 이루다. 주변 산업시설들과 닮은 박공지붕 형태를 사용해 하나의 마을로 주변과 조화를 이루다. 이렇게 우리는 119안전센터로서의 효율적인 기능에 더하여 주변과의 조화를 위한 매스 형태 계획, 주변 공장 노동자들을 위한 마을 쉼터, 업무자를 위한 마당, 대기중인 대원들을 위한 마당을 더하여 사람에게 더 다가갈 수 있는 공공시설을 만들고자 하였다.
참여자_김태곤, 정수동, 김재랑, 노민영, 이채영

춘천소방서 퇴계119안전센터 제안공모에서 (주)건축사사무소공작소가 입상했습니다.
춘천 퇴계119안전센터는 퇴계2 논공단지내에 대부분이 공장인 환경에 자리하게 된다. 우리는 이러한 논공단지내에서 부족한 공공적인 공간을 가지는 119안전센터를 만들고자 다음을 제안 하였다.
첫번째는 합리적인 동선이다. 신속하고 안전한 출동이 우선 시 되어야 하는 안전센터를 위해 모든 공간을 1층으로 계획하고 수평동선으로 계획하였다. 두번째는 서로 배려하며 공간을 나누다. 중심 박공 매스를 기준으로 서쪽에는 차량의 동적공간, 동쪽에는 보행의 정적공간으로 나누어 조닝하였다. 마지막은 주변과 조화를 이루다. 주변 산업시설들과 닮은 박공지붕 형태를 사용해 하나의 마을로 주변과 조화를 이루다. 이렇게 우리는 119안전센터로서의 효율적인 기능에 더하여 주변과의 조화를 위한 매스 형태 계획, 주변 공장 노동자들을 위한 마을 쉼터, 업무자를 위한 마당, 대기중인 대원들을 위한 마당을 더하여 사람에게 더 다가갈 수 있는 공공시설을 만들고자 하였다.
참여자_김태곤, 정수동, 김재랑, 노민영, 이채영